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꼭 읽어야 할 예술이론과 비평 40선


읽어보니 우선, 어렵다. 천천히 곱씹어 보아야 한다. 곰브리치 미술사에서 볼 수 있는 입문자에 대한 인간미나는 배려를 느끼기에는 좀 무거운 책임에 틀림없다. 다만 분명한 건 꼭 읽어야할 텍스트들 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 미술사 정립의 시작과 지금까지 그 담론들의 그야말로 정수만을 모아 놓았기 때문에 더욱 각별하게 느껴지는 책이다. 어느정도의 이해수준에 다다르면 분명 미술사 전체를 관통하는 혜안의 길목에 들어설 것이라고 감히 예상해 본다.
미술사란 무엇인가? 미술사는 왜, 어떻게, 어디에서 비롯되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방법론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을까? 미술의 역사는 고전 고대 시기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집필되고, 또 다시 새롭게 집필되고 있다. 18세기 말 독일에서 미술사가 근대적 학문으로서 성립된 이래로 미술과 미술의 역사를 둘러싼 논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술사학자, 철학자, 심리학자, 인류학자들은 미술사가 무엇이었으며, 무엇이고, 무엇이 될 것인지에 관한 우리의 생각을 변화시켜 왔다.

이 논문 선집은 지난 두 세기 동안 이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영향력이 컸던 텍스트들의 비평적인 읽기를 통해 미술사 전반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각 장마다 역사로서의 미술; 미학; 형식, 내용, 양식; 인류학과 미술사; 의미의 메커니즘; 해체와 해석의 한계; 작가성과 정체성; 세계화와 그로 인한 불만을 핵심적인 주제로 다루고 있다.

바사리, 빙켈만, 칸트, 헤겔, 뵐플린, 리글, 파노프스키, 벤야민, 곰브릭, 푸코, 하이데거, 샤피로, 데리다, 로잘린드 크라우스, 캐롤 던컨 등 다양한 시대, 다양한 성향의 저자들이 쓴 글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 장 도입부에 편집자의 서론을 덧붙여 그 장에서 다루게 될 주제와 관련된 배경적인 정보와 참고 문헌, 비평적인 해설을 소개한다.


역자 서문

서론
여는 글
도널드 프레지오시 | 미술사, 볼 수 있는 것을 읽을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일

1. 역사로서의 미술
들어가며
지오르지오 바사리 | 화가, 조각가, 건축가의 생애
요한 요아힘 빙켈만 | 그리스 미술 모방론
휘트니 데이비스 | 분열된 빙켈만: 미술사의 종말 애도하기
마이클 박산달 | 의도의 유형들

2. 미학
들어가며
임마누엘 칸트 | 판단력 비판
헤겔 | 예술 철학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 불순한 미메시스, 혹은 미적인 것의 목적
윌리엄 피에츠 | 페티시

3. 형식, 내용, 양식
들어가며
하인리히 뵐플린 | 미술사의 기초개념
에른스트 곰브릭 | 양식
데이비드 섬머스 | 형식, 19세기 형이상학과 미술사 기술의 문제
데이비드 섬머스 | 양식

4. 인류학과 미술사
들어가며
알로이 리글 | 후기 로마 예술의욕의 주요 특징
아비 워버그 | 북아메리카, 푸에블로 인디언 지역의 이미지
에드가 빈트 | 워버그의 문화학 개념과 미학적 의미에 대하여
클레어 파라고 | 조용한 움직임: 미술사 담론에서 민족지학적 주체를 배제하는 것에 관하여

5. 의미의 메커니즘
들어가며
에르빈 파노프스키 |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르네상스 미술 연구
위베르 다미쉬 | 기호학과 도상학
미크 발과 노먼 브라이슨 | 기호학과 미술사: 컨텍스트와 전송자에 관한 논의
스티븐 반 | 의미/해석

6. 해체와 해석의 한계
들어가며
스티븐 멜빌 | 새로운 관점의 유혹
마틴 하이데거 | 예술 작품의 근원
마이어 샤피로 | 개인적 사물로서의 정물화-하이데거와 반 고흐에 대한 소고
자크 데리다 | 지시에 있어서 진리의 귀속

7. 작가성과 정체성
들어가며
미셸 푸코 | 작가란 무엇인가?
로잘린드 크라우스 | 확장된 장에서의 조각
크레이그 오웬스 | 타자들의 담론: 페미니스트들과 포스트모더니즘
메리 켈리 | 모더니즘 비평에 대한 재고찰
주디스 버틀러 | 수행적 행위와 젠더 구성체
레이 초우 | 포스트모던 오토마톤
아멜리아 존스 | ‘어디에서 어떻게 아름다움이 즐거움을 주는지 모든 사람은 알고 있다.’
제니퍼 도일 | 퀴어 벽지

8. 세계화와 그로 인한 불만
들어가며
티모시 미첼 | 오리엔탈리즘과 전시 질서
캐롤 던컨 | 의례로서의 미술관
발터 벤야민 |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사티야 모핸티 | 우리의 가치는 객관적인가?
마커드 스미스 | 시각 문화 연구: 역사, 이론, 그리고 실천의 문제
마리아 페르난데스 | ‘유사 생명’: 디지털 아트에서의 과정과 반응성의 역사화
도널드 프레지오시 | 에필로그-예술 비평의 실천을 위하여
닫는 글 | 플라톤의 딜레마와 오늘날 미술사가의 임무

주석
텍스트 목록
도판 목록
용어 해설
색인